목록게임/게임 칼럼 13
연습용 블로그
복돌이, 인터넷에 불법으로 업로드된 유료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받아 쓰는 사람들을 부르는 명칭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좀 한다하는 사람들은 이 복돌이라는 명칭에서 절대 자유로울 수 없는 게 현실이죠. 문제는 이렇게 불법으로 다운 받는 일상이 당연시 되고 이에 대한 피해는 복돌이 뿐 아니라 정품을 사용하는 정당한 소비자에게도 온다는 것입니다. 1. 불법 복제 저작권을 행사하는 무형의 상품을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하는 행위를 불법 복제라고 부릅니다. 배포 행위가 불법 복제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변환하는 것은 해당되지 않고, 다운로드 하는 것 역시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만 불법 다운로드에 쓰이는 토렌트는 다운로드와 업로드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다운로드 하는 것만..
최악의 게임을 뽑으라고 하면 어떤 게임을 뽑을 수 있을까요? 사람마다 기준은 다르겠지만, 보편적으로 잡는 기준은 존재하겠죠. 단순히 재미가 없는 게임, 시리즈중에 돋보이는 졸작, 스토리가 엉망진창인 게임, 기대만 부풀려놓고 결과물은 엉성한 게임 등등... 이런 게임들은 게임 자체의 평을 떨어트릴수도 있고 시리즈의 평가를 떨어트릴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 회사의 평판과 주식도 나락으로 떨어트릴수도 있죠. 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게임 자체의 평가는 물론이고, 회사에도 큰 타격을 주었을 뿐만이 아니라 북미 게임 시장 자체를 산산조각낸 위업아닌 위업을 이룬 게임이죠. 어떻게 가 산업 자체를 산산조각 냈는지, 지금은 아타리 쇼크라고 이름 붙여진 북미 게임 시장의 몰락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1. 서문 게임과 경제, 재밌는 게임과 머리 아픈 경제를 묶어서 설명하게 되다니, 머리가 아프군요. 이번에 게임과 묶어서 설명하고 싶은 경제의 개념은, 게임 외적의 경제, 즉 게임 산업이나 판매 같은 현실과 관련된 경제가 아니라, 게임 내부의 경제에 대해서 말하려고 합니다. 즉 경제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RTS, FPS, AOS 등등은 자동적으로 제외되고, MMORPG를 위주로 설명하게 될 것 같습니다. 2. 게임 속 경제의 특징 가장 먼저, 게임내 재화, 간략하게 대다수의 게임에서 사용하는 “골드” 라는 표현을 쓰겠습니다. 골드에 대한 소비보다는 공급이 훨씬 많습니다. 게임이라는 큰 사회에서 골드는, 대부분 돌고 도는 경우가 많고 게임 속으로 다시 소비되는 경우가 적습니다. 반면 공급은 노가다나 파밍..
참고 기사 :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700901. 서문 게임과 폭력, 수 많은 사람들이 서로 묶어서 생각하는 단어입니다. 게임을 하면 폭력적으로 되고, 폭력적이고 불량한 사람들은 게임을 좋아한다는 편견, 가상현실에서 가상이긴 하지만 사람을 때리고 죽이고 총으로 쏘면 언젠가 현실에서도 사람을 때리고 죽이고 총으로 쏠 수도 있다라는 편견, 온갖 편견들이 게임이란 컨텐츠를 향해서 쏟아지고 있죠. 게임을 하면 폭력적으로 변한다. 라는 명제에 대한 논리적 오류도 수 없이 짚어낼 수 있고, 이에 반대되는 사례와 뉴스도 잔뜩 찾을 수 있고, 이 논리의 반대 방향에 있는 실험 결과나 논문도 학계에 많이 있습니다. 사실 게임이란 컨텐츠에 어느정도 관심..
이란 게임이 우리나라 온라인 게임과 FPS 게임계에서 얼마나 큰 자리를 차지하는지는 대부분의 게임 유저들이 아실 겁니다. 온라인 FPS 게임의 시작이 이였다면 은 그 왕좌를 차지하고 내려오지 않던, 국민 FPS 게임이였죠. 표절이니 밸런스니 비매너니 하는 비판이 있긴 했지만, PC방 점유율로 보나 플레이어 숫자로 보나 부동의 위치를 차지한 게임이였습니다. 그리고 넥슨에서 그 후속작인 를 새로 발표했습니다. 1. 망했어요 그야말로 돌풍을 일으킨 에 대항하기 위해서 나왔다는 는 말그대로 헛점과 구멍 투성이였고, 부정적인 방향으로 돌풍을 일으킨 후에 처참하게 묻히고 말았습니다. PC방 점유율은 바닥까지 떨어지고, 유튜브와 커뮤니티에는 를 조롱하는 글만 올라오고, 뉴스에서 마저도 "망했다" 라는 기사가 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