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게임/게임 칼럼 13
연습용 블로그
게임계에서 중국이란 동전의 양면 같은 존재입니다. 게이머들에게 중국은 해킹, 핵 프로그램, 검열 등등으로 나쁜 이미지가 대부분이지만, 게임 관련 기업에게는 거대한 시장이자 금덩어리인 존재죠. 게임뿐 아니라 드라마, 영화 등에서도 중국이란 나라는 좋은쪽으로든 나쁜쪽으로든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중국의 검열은 어떻게, 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게이머에게 어떤 피해를 줄까요? # 중국이 문화 검열을 하는 이유 중국의 정치 체제는 공산당 독재 체제입니다. 북한처럼 1인이 정치 권력을 독점하는 형태는 아니지만 공산당이라는 1개의 당이 정치 권력을 독점한 체제죠. 그렇기 때문에 여느 독재 국가가 그렇든 끊임없이 저항과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저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자국민들을 세뇌하는데 노력하고..
12월 14일, 블리자드 홈페이지에 관련 소식이 올라왔습니다. 개발팀 인원 중 몇몇이 다른 부서로 이동되면서 개발진이 축소되었고 공식 프로리그인 HGC를 2019년에는 열지 않겠다는 소식이었는데요. 이 깜짝발표 덕분에 여러 매체는 물론이고 리그 관련 종사자들, 더 나아가서 블리자드 게임을 하는 모든 게이머들이 크나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 개발진 축소 블리자드의 개발진 축소는 사실 예상가능 했습니다.중국의 IT 관련 규제 이후, 블리자드를 포함한 게임회사 대부분이매출이 감소하고 주가가 떨어져서 인력 감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루머가 돌았죠. 개발팀 대표인 케오 밀커의 입장문을 보면개발진들도 사전에 통보 없이 하루 아침에 날벼락을 맞은 것으로 추측됩니다. 개발진들이 축소되면서 신규 업데이트 일정이 대폭 조정..
1편 링크 # 이 인벤 직원들이 정신줄을 놨나 루리웹에서 한 어그로꾼이 '장미저택' 이라는 유저를 비난했습니다. '장미저택' 이라는 유저에 대해서 설명해드리자면 국내의 정보들의 90% 이상을 제공하는 유저분입니다. 의 정보들 역시 대부분 이 유저가 작성했고 인벤 정직원보다 더 열심히 게임 공략, 뉴스를 전하는 유저였죠. 조금 과장해서 '장미저택' 을 모르는 국내 와우저가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열성적인 유저였습니다. 열성적이고 사실상 에 열정을 가지고 자원 봉사를 하던 유저에게 인신 비방, 여론몰이, 셀프 패드립을 시전한 루리웹의 이 어그로꾼은 의 오버워치 기자로 밝혀졌습니다. 한 유저가 이 어그로꾼의 아이디를 추적하자 의 기자 아이디로 밝혀진거죠. 의 정직원이 유저, 그것도 아주 열성적인 유저를 비..
불과 몇 달전에 에서 메갈 관련 사건이 터졌습니다. 저는 그 사건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후에 블로그에 포스팅을 올렸죠. 사건이 마무리 된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에서 터진 이 사건이 에까지 번져버렸습니다. 에서 터진 메갈 관련 이슈가 메갈만의 문제가 아닌 의 내부적인 문제점까지 들춰내면서 의 존립까지 위협받고 있습니다. # 은 어떤 곳인가 2004년 말에 개설된 게임 웹진 사이트로, 웹진 중에서는 상당히 늦게 시작한 후발주자입니다. 이 망하면서 플레이포럼을 사용하던 유저, 기자, 직원 들이 으로 유입되기 시작했고 을 시작으로 점점 성장해나갔죠. 현재는 게임 관련 웹진중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사용 유저수, 게임 관련 정보, 시장 점유율 등등 모두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는 웹진입니다. ▲ 이 망하자 ..
게임과 성 상품화, 게임과 관련된 논란이 불거질때면 어김없이 튀어나오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특히나 게임 속에서의 여성에 대한 묘사가 주로 문제가 될 때가 많죠. 오늘은 성 상품화와 게임 속에서의 성 상품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1. 성 상품화란? 용어에 대해서 먼저 정리를 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인간의 성적 매력이나 성적 이미지를 하나의 상품, 아니면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통틀어서 성 상품화라고 합니다. 일단 성매매 역시 가장 원초적이고 직접적인 성 상품화이긴 하지만, 이 글에서는 성매매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려고 합니다. 2. 성적 대상화란? 성적 대상화는 사람을 인격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성적 욕구를 풀기 위한 대상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의견이 분분한 성 상품화와는 ..